Surprise Me!

[CEO풍향계] '美증시 직행' 김범석…'경영권 승기' 조원태

2021-02-19 0 Dailymotion

[CEO풍향계] '美증시 직행' 김범석…'경영권 승기' 조원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최고경영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'CEO 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55조 원까지 불린 몸값으로 미국 뉴욕증시 상장에 나선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, 누나 등 3자 연합과의 경영권 분쟁에서 승기를 잡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등의 소식을 배삼진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돈은 한국에서 벌었는데 왜 미국에 상장할까,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의중이 궁금해지는데요.<br /><br />투자금을 늘리기 위한 행보이자, 안정적 경영권 확보를 위한 차등의결권 때문이겠죠.<br /><br />그런데 미국 기업이 미국에 상장하는 게 이상한 것도 아니라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쿠팡 감사보고서에서는 한국의 쿠팡을 미국에 있는 쿠팡LCC의 한국지점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 의장을 비롯해 지분 5% 이상 가진 주주, 임원 대부분이 모두 외국 국적입니다.<br /><br />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운영하는 비전펀드도 37% 정도 투자돼 있는 등 거의 외국자본으로 만들어진 회사입니다.<br /><br />증시에 거품이 낀 지금이 상장의 적기입니다.<br /><br />몸값 평가액이 55조 원이라는 소리가 들리는데 상장에 성공하면 국내 유통업계에 미칠 파고가 엄청날 겁니다.<br /><br />옥션과 G마켓을 인수했던 이베이코리아가 매물로 나오고, 홈플러스 역시 비슷한 처지인데 어딘가에서는 벌써부터 한숨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.<br /><br />국내 유통업계의 대응도 만만치 않아서 김 의장이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해집니다.<br /><br />조원태 한진그룹 회장, 요즘에는 좀 웃는 날이 있을까요.<br /><br />대한항공이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지난해 2천억 원대 영업이익을 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항공사 중 유일합니다.<br /><br />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등 조 회장의 역발상 전략이 통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양호한 실적에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대한항공 주가는 올해만 40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기쁜 소식이 하나 더 있습니다.<br /><br />누나인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이 합류해 있는 3자 연합 측이 주총을 앞두고 주주제안을 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경영권 분쟁에서 조 회장이 승기를 잡은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산업은행이 한진칼 지분을 확보한 만큼 주총에서의 표 대결이 무의미해진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올해 영업이익이 작년 대비 200% 이상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있던데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잘 마무리하는 게 과제겠네요.<br /><br />코스닥 시가총액 3위 에이치엘비의 주가가 곤두박질했습니다.<br /><br />진양곤 회장이 급하게 대응에 나섰지만 떨어지는 주가를 떠받칠 수는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에이치엘비는 위암 항암제 '리보세라닙'을 개발 중이죠.<br /><br />신약 개발의 마지막 관문으로 꼽히는 글로벌 3상 시험 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해 허위 공시한 혐의로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았다는 게 악재가 된 겁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에이치엘비가 미국 식품의약국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임상에 실패했다는 의견을 받고도 이를 숨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진 회장은 허위사실을 공시한 적이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해인 만큼 충분히 소명하고 입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주주들 입장에서는 신라젠이나 코오롱티슈진 같은 임상 중단 악재가 떠오를법한데요.<br /><br />주요 바이오기업 주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때는 공매도 방어주로 떠오르기도 했는데 진 회장 얘기처럼 진실은 밝혀지겠죠.<br /><br />거액의 회삿돈 횡령과 배임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이 구속됐습니다.<br /><br />최 회장은 SK가의 맏형이죠.<br /><br />최종건 SK그룹 창업주 둘째 아들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사촌 형입니다.<br /><br />2000년부터 SKC와 SK텔레시스 회장을 지내다 2016년 SK그룹의 모태가 되는 SK네트웍스로 복귀했는데요.<br /><br />최 회장은 SKC와 SK네트웍스 등을 거치면서 회삿돈을 횡령하고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, 자신의 회사 지분을 사위 등에게 헐값으로 매각해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피하려 했다는 의혹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일단 최 회장은 SK 보유 주식을 0.04%까지 낮춰 경영 부담을 덜어주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최 회장은 고액기부자 모임 '아너 소사이어티' 창립회원이자 회장이고, 27년간 사재를 털어 132억 원을 기부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재계 기부왕이란 평가를 받고 있는데 불명예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가 덮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부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의 물줄기가 결국 자산가들에게 흘러갈 수밖에 없는 구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국내에서도 마찬가지죠.<br /><br />돈을 푼다고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에 물음을 던져봅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CEO 풍향계는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